낙서장78 [펌] e-learning.. 2004년은 그 어느해 보다 이러닝 분야의 전성기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 실정입니다. 본 자료는 컴퓨터교육학에서는 점차로 다가오는 신개념의 학습이 물결처럼 다가 오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. 올해 6월에 출간하는 형설출판사 교재에서 국내 최초로 이러닝에 대한 신개념 부분 섹터를 도입하여 여러분들의 교수학습 설계에 대한 새로운 감각과 코스웨어 설계의 새로운 용어 중 하나인 '스콤' 의 내용을 도입하여 서술하려 합니다. 본 내용과 관련하여 3월-4월 중에 세미나를 한번 하려고 합니다. 국내 이러닝 교육 코스웨어 설계자이기도 한 김마태오 교수와 이러닝 분야의 선두주자인 알택사의 엔지니어를 모시고 새로운 시대의 이러닝 분야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차원에서 무료 세미나를 주관하고자 합니다. 여러분들의 사전 접수를 선착.. 2010. 7. 12. [펌] e-Learning 비즈니스 이해 이러닝 (e-Learning) 견문 넓히기 - 인터넷의 발달로 더욱 많은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는 학습의 한 형태라고 볼 수 있는 이러닝. 그 교육 효과에 대한 논란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시간의 벽을 뛰어 넘어 빠르게 학습컨텐츠를 전파 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향후 그 영역은 더욱 넓혀 지리라 예견된다. 다만, 전달 매체의 발달로 인해서 m-Learning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지기는 했지만 이러닝의 개념이 더욱 넓어 지고 있는 현실에서는 기존의 Off-line 학습을 대체하는 학습 방법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추세로 볼 수 있다. 1. 시대적 요청에 따른 e-Learning 2. e-Learning에 대한 고객의 요구수준 향상 3. e-Learning 영업모델 4. .. 2010. 7. 12. [펌] e-Learning 바로보기 ##########0* 1999년 New Millennium에 전세계가 흥분하던 시기. 대한민국 e-Learning도 기업교육에 새바람을 불어 넣으며 그야말로 교육의 혁명을 예고하고 있었다. 혹자들은 e-Learning이 기존의 Off-line교육을 대체하고 하드웨어 설비를 가진 교육기관들은 어려움에 처할 것이라고 했고, 혹자는 e-Learning은 사용자들의 환경개선이 쉽게 이루어지지 못해 앞으로 10년 후에나 진정한 의미의 e-Learning이 확산될 것이라고 예견했다. 그러나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과감한 투자와 신생 벤처기업의 활발한 개발사업으로 인해 2002년에 들어서는 그 무한한 가능성을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정도의 발전을 이루어냈다. 특히 양적인 측면에서의 발전은 평균 연간 수백%에 이를 정.. 2010. 7. 12. [펌] BugsMusic에서 음원 가져오는 방법입니다..^^ 1. 우선 벅스 가셔서 음악 번호를 찾습니다. 벅스 플레이어가 바뀌면서.. 재생위에 마우스를 올려도 음악 번호가 나오지 안죠? 또는 shfit와 재생을 눌러도 새창이 뜨지 않거든요.. 그래서 알아낸 방법이! 나만의 앨범에 담아서 음악번호를 알아내는 것입니다^^ 자.!! 따라해 보세요 2. 알아낸 음악 번호를 기억하시고.. 3. 아래중 맘에 드시는 곳의 문서를 여세요. 이 모양의 미디어 넣으시려면.... --------->http://ilovemiya.com/test1.html ##########1* 이 모양의 미디어 넣으시려면... --------->http://ilovemiya.com/test2.html ##########2* 이 모양의 미디어 넣으시려면... --------->http://ilovem.. 2010. 7. 12. 이전 1 ··· 12 13 14 15 16 17 18 ··· 20 다음